하루 경제 용어 # 공시가격(公示價格) 현실화율
- 일상다반사/경제
- 2022. 12. 15.
728x90
728x90
정부에서는 2023년 내년에
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을
2020년 수준으로 되돌리기로 했습니다.
하루 경제 용어 # 부동산 가격 종류 - 공시가격(公示價格)
이번에는 부동산 가격 종류에 대한 주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 부동산 가격의 대표 지표인 공시가격, 기준시가, 시가표준액, 실거래가, 시세, 시가, 감정평가액에 대하여 최대한 이해가 쉽고 빠
blog.pig2cow.com
공시가격 현실화율이란?
현재 부동산 시장에서
시세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
나타내고 있는 지표를 의미합니다.
728x90
이번에 정부에서는
2020년 수준인 80%로 목표로
달성기간을 2040년 까지 연장한다는
방안이 나왔습니다.
확정된 것은 아니기에
그 기준에서 예를든다면,
실제로 거래되고 있는 주택의 가격에서
80% 수준에서의 공시가격을
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실거래가 8억의 집의 공시지가는
80%수준인 6억4천만원이 되는 것입니다.
728x90
그렇기 때문에
공시가격이 올라갈수록
내야 할 세금이
더 많아지게 되는것입니다.
뉴스기사에 이런 제목이 보입니다.
현재의 기준 공시가격이 70%인 점을
감안하면, 하향조정이 아니라
인상이라는 표현이 맞는것 아닌가?
정부의 공시가격율 목표설정 지수는
원래 90%까지이다 보니 하향 조정이라는
표현이 맞는 것이기에
기준점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
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니
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SMALL
공시가격 현실화율의 계산 공식은
다음과 같습니다.
공시지가 ÷ 실거래가 × 100
즉,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80%라는 것은
부동산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보다
약 20% 정도 낮게 책정되었다는 의미입니다.
728x90
728x90
'일상다반사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은행 기준금리 0.25%P 인상 (88) | 2023.01.14 |
---|---|
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(aka 1.3.대책) 정리 합니다. (89) | 2023.01.09 |
FED(연준)의장 파월, 12월금리 인상 속도조절 공식화 (108) | 2022.12.04 |
화물연대 파업의 나비효과? 휘발유 품절 주유소 증가 (109) | 2022.12.01 |
'위믹스' 상장폐지 결정? 위메이드 주가 폭락 (69) | 2022.11.25 |